미래에셋, 수수료 대폭 인하
미래에셋자산운용이 ETF 시장에서 큰 승부수를 던졌다. ‘TIGER 레버리지’, ‘TIGER 코스닥150 레버리지’, ‘TIGER 인버스’ 등 주요 레버리지 및 인버스 ETF의 수수료를 삼성자산운용의 KODEX ETF보다 100분의 1로 대폭 낮추겠다고 발표했다. 이는 기존의 수수료 경쟁에 이어 새로운 ‘수수료 전쟁’을 예고하는 결정으로, 180조 원 규모의 국내 ETF 시장에서 두 회사 간의 경쟁 구도가 더 치열해질 전망이다.

레버리지와 인버스 ETF 수수료 인하의 배경
미래에셋이 이번에 집중한 상품은 바로 레버리지와 인버스 ETF다. 이들 ETF는 고위험 상품으로 분류되며, 시장 상승 시 두 배의 수익을 얻을 수 있지만, 하락할 경우 손실도 두 배로 커질 수 있다. 미래에셋은 이들 상품의 수수료를 대폭 낮추고, 투자 위험성을 홈페이지 등을 통해 알리며 투자자 보호를 강화할 계획이다. 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은 “레버리지와 인버스 ETF로 돈을 번 사람은 거의 없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미래에셋의 전략과 시장 반응
미래에셋은 2020년대 들어 급격히 점유율을 확대하며 삼성자산운용과 함께 국내 ETF 시장을 양분하고 있다. 현재 삼성운용은 시장 점유율 38.2%, 미래에셋운용은 34.8%로, 두 회사 간 격차는 3%포인트로 좁혀졌다. 특히 레버리지와 인버스 ETF에서 삼성운용의 KODEX 시가총액은 TIGER보다 10배 이상 크지만, 미래에셋은 수수료 인하로 시장 점유율을 급격히 확대할 전략을 취하고 있다.

수수료 전쟁이 가져올 결과
이번 수수료 전쟁이 ETF 시장에서 어떻게 전개될지 주목된다. 특히, 레버리지와 인버스 ETF는 장기 보유보다는 단기 투자에 적합한 상품으로, 미래에셋이 수수료를 대폭 낮추며 시장을 선도하려는 의도를 내비쳤다. 그러나 금융감독원은 이와 같은 수수료 및 마케팅 경쟁 과열에 대해 보수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어, 미래에셋의 수수료 인하가 장기적으로 시장에 미칠 영향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미래에셋의 이번 수수료 인하 결정은 ETF 시장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예고한다. 특히 레버리지와 인버스 ETF에서 삼성자산운용을 겨냥한 공격적인 전략이 주효할 경우, 두 회사 간의 점유율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다. 이 수수료 전쟁이 ETF 시장의 구조와 투자 패턴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향후 상황을 면밀히 지켜봐야 할 때다.
'그리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란, 할인 쿠폰 뿌리다 결국 터졌다…“제2의 티메프 사태 우려” (0) | 2025.03.28 |
---|---|
트럼프 “4월 2일부터 외국산 자동차 25% 관세”…일본 비상 (0) | 2025.03.27 |
현대차, 29조 원 투자로 미국 시장 공략 강화 (0) | 2025.03.25 |
옵션 거래란? 기본 개념과 활용 방법 (1) | 2025.03.25 |
선물 거래란? 기본 개념과 전략 (1)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