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한 관세 정책이 미국 경제와 글로벌 금융 시장에 미친 영향은 예상보다 더 심각한 상황을 맞이하고 있다.
최근 달러 가치와 미국 국채 가격의 급락은 그 동안 안전자산으로 여겨졌던 미국의 신뢰를 크게 흔들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초래한 불확실성은 미국을 더 이상 안전지대가 아닌, 불안정한 국가로 만들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1.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자충수, 달러와 국채 휘청
2025년 4월 10일(현지시간), 달러인덱스는 한때 99.71까지 하락하며 1년 9개월 만에 100 밑으로 내려갔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7% 이상 하락한 수치다. 달러와 함께 미국 국채 시장도 휘청이고 있다.
1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는 연 4.448%로 상승하며, 국채 가격은 하락했다. 이는 국채와 달러가 동시에 하락하는 이례적인 현상을 보여준다.

2. 유로화와 엔화 강세, 달러의 약화
반면, 유로화와 엔화는 급등세를 보였다. 유로당 달러 환율은 1.1381달러로 상승했고, 엔화는 143엔대로 하락하며 가치가 상승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유예 발표와 미국의 정책 불확실성에 대한 불안감이 반영된 결과로, 미국의 경제적 기조와 달러에 대한 신뢰가 흔들린 상황에서 대체 안전자산으로 유로화와 엔화가 급등한 것이다.
3. '미국 예외주의' 신뢰 무너져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그로 인한 경기 침체 우려로 인해 미국 예외주의에 대한 회의론이 커지고 있다.
미국 경제는 그 동안 높은 성장률과 저렴한 에너지, 기술 혁신 등으로 세계 경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지만, 트럼프의 무역전쟁과 관세 부과로 그 신뢰가 큰 타격을 입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미국은 더 이상 안전한 나라가 아니다"라고 전했다. 이는 미국 국채와 달러에 대한 불신을 나타내는 신호로, 이제는 해외 투자자들이 미국 자산을 떠나는 탈출 러시가 발생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4. 금과 스위스프랑, 대체 안전자산으로 급부상
미국의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 투자자들은 금과 스위스프랑과 같은 대체 안전자산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금 현물 가격은 트로이온스당 3220달러를 기록하며 최고치를 경신했으며, 스위스프랑도 달러 대비 급등했다. 이러한 자산의 상승은 달러의 약화와 함께 안전자산으로의 선호가 높아진 결과로 분석된다.

5. 미국 경제 불확실성, 경고의 목소리
미국의 재정적자와 경기 침체 우려도 달러와 국채에 대한 신뢰를 흔드는 주요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JP모간체이스는 미국의 경기 침체 확률을 60%로 분석하며, 미국의 실효 관세율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계속해서 인플레이션과 스태그플레이션을 유발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더 나아가,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은 장기적으로 미국의 경제 기초체력을 약화시키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6. '트러스 모먼트' 경고, 미국의 위기
에버코어ISI는 트럼프 대통령이 영국 리즈 총리처럼 ‘트러스 모먼트’를 맞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는 2022년 영국의 리즈 트러스 총리가 감세안을 발표한 후 국채 매도와 파운드화 급락을 초래한 사건을 말한다. 미국도 비슷한 위기를 맞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으며, 특히 대규모 국채 발행이 예고된 상황에서 경기 침체와 맞물려 국채 금리 상승과 달러 가치 하락이 심화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전쟁과 그로 인한 불확실성은 이제 미국 경제의 안정성에 대한 신뢰를 크게 흔들고 있다. 달러와 미국 국채가 약세를 보이면서, 미국의 안전자산 지위도 불확실해지고 있다.
앞으로의 경제 전망은 여전히 불확실하고, 미국 예외주의에 대한 신뢰가 회복될지 여부는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에 달려 있다.
'그리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자산 폭락의 날…해외 투자 이탈? "절망↔불확실성 바꾼 것" (1) | 2025.04.11 |
---|---|
금리 폭등에 흔들리는 '안전자산' 미국채, 불안 키운 세 가지 변수 (2) | 2025.04.11 |
트럼프 관세 유예, 아시아 증시 일제히 반등...추세적 반등은 일러 (2) | 2025.04.10 |
‘트럼프 관세 전쟁’에 금값 천장 뚫어, 안전자산 수요 증가로 사상 최고치 경신 (0) | 2025.03.29 |
발란, 할인 쿠폰 뿌리다 결국 터졌다…“제2의 티메프 사태 우려” (0) | 2025.03.28 |